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맥락은 단순한 사건을 넘어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전남대학교에 세워진 5·18사적지 표지석은 이 의미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조각가 김왕현의 철학과 디자인 의도를 통해 더욱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 표지석의 디자인 의도에 대해 탐구하고, 그 배경과 의미를 깊이 살펴보겠다.
기념 표지석의 역사적 의미
5·18 민주화운동의 기념 표지석은 단순히 어떤 장소를 나타내는 표식에 그치지 않는다. 이 표지석은 1980년 5월 18일에 일어난 학생들의 첫 충돌을 기념하는 장소로서, 그 시점에서의 광주시민의 등의 피나는 저항과 아픔을 기억하기 위한 상징적 이정표다. 전남대학교는 5·18 민주화운동의 시작점으로서 이 표지석의 설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먼저, 표지석의 디자인은 그 역사적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타원형의 형태가 인상적인 이 표지석은 주변 건축물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전통적인 사각형 또는 원형의 표지석과는 달리, 타원형은 더 유려하고 유기적인 느낌을 주어 도심에서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반체제적 저항에 대한 존경과 아울러, 역사적 맥락에서의 기념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키려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김왕현 작가는 이 표지석을 디자인하며 자랑스러운 자신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기로 결심했다. 이는 민주화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조명하고 기리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누구보다도 민주화를 위해 싸운 이들의 희생과 용기를 기억하고 그들의 정신이 더욱 빛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보통 예술 작품에서 작가의 이름은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지만, 김 작가는 이러한 뚜렷한 자기 주장을 넘어 그 사건의 참 의미를 잊지 않기 위해 필요한 결정이라고 여겼다.
조형적 접근과 디자인 의도
표지석의 디자인에 있어서 조형적 접근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반영되었다. 김왕현 작가는 도시의 전반적인 조형성을 고려해 타원형으로 디자인하였다. 직선과 각도가 많아 도시의 건축물들과 잘 어우러지지 않는다면, 역사적 의의가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실제로, 주변의 대칭적이고 직선적인 건축물들 사이에서 독특한 곡선을 가진 이 표지석은 시각적으로도 강한 인상을 남긴다.
디자인은 단순히 외관뿐만 아니라 과거를 돌아보게 하는 ‘이야기’의 방식으로 작용한다. 김 작가는 조각의 형식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의 깊은 역사적 맥락을 시각화하고 싶었던 것 같다. 이는 민주화의 열망이 도시의 확장과 함께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건축물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방식으로서 역사적 기억을 되새김질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디자인의 의도는 단순히 한 지점의 역사적 의미를 남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들이 사적지를 통해 고난의 역사 속에서 새로운 민주적 가치를 발견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이 표지석을 지나며 5·18 민주화운동의 흐름과 그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는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기념물의 사회적 함수
표지석은 그 자체로만 존재하지 않고, 5·18 민주화운동을 기억하고 기리기 위한 사회적 기능도 수행한다. 장소가 가진 역사적 의미 때문인지, 이곳은 많은 이들이 찾아와 민주화를 위해 싸운 이들의 죽음을 기리며 묵념을 하는 공간이 되었다. 표지석은 단순한 물리적 존재가 아니라, 사람들에게 의식적으로 다가가고 떠오르게 하는 상징적 존재이다.
또한, 전남대학교와 그 주변 지역은 이미 오래전부터 민주화 역사와 깊은 연관이 있다. 역사적 사건이 벌어진 장소가 아닌, 그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되새기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의도가 기념물의 설계에 반영되었다. 그래서 이곳은 다양한 세미나와 행사, 추모식이 열리는 장소로 사용되며,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과 의지를 상기시키는 생동감 있는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결국, 이 기념 표지석은 단순한 돌멩이가 아닌, 우리 사회의 역사와 민주주의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요구하는 존재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 값을 찾고 기억하도록 하는 고리로서의 역할을 하며, 다가오는 미래에도 여전히 우리의 정신적인 이정표가 되어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전남대학교에 설치된 5·18 민주화운동 기념 표지석은 단순한 기념물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조각가 김왕현의 철학과 디자인 의도는 그 자체로 깊은 감동을 주며 우리가 역사적 사건을 잊지 않도록 돕고 있다. 앞으로도 이 표지석이 민주주의 발전의 상징으로서 기능하기를 바라며, 지속적인 관심과 기억이 필요하다.